2023년 5월 11일 목요일

인벤터 TIP(팁)- 인벤터에서 솔리드개체 분할하는 Split에 대해 알아봅니다.

구독신청~ 알림설정~ 좋아요. 감사합니다.

 오늘은 인벤터에서 솔리드 개체를 분할

하는 Spli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정개체를 곡선으로 이루어진 서피스나

또는 작업평면을 생성해서 분할하거나

잘라버릴수 있습니다.

솔리드 개체에서 특정면만 분할가능(B)

하고 또한 특정부분을 삭제(C)할수 있고,

분할된 상태를 유지한 솔리드를 생성(D)

할수도 있습니다.

2D스케치를 이용해 정면을 잡고

스플라인을 생성하고 리본메뉴의

돌출(A)를 클릭해 뜨는 대화창에서

서피스(C)를 선택 하고 임의의 거리(D)

입력해 서피스곡면을 생성합니다.

리본메뉴의 분할을 클릭해 뜨는 대화창

에서 면분할(B)를 선택하고 분할도구는

생성한 곡면을 선택하고 면은 육면체의

앞면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확인을 누릅니다.


그려면 위 그림과 같이 앞면이 분할됨을

알수 있습니다.

또한 리본메뉴에서 작업평면 선택하고

(B)위치에 생성한 작업평면을 선택하고

위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면 작업평면으로

면이 분할됨을 알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 분할된 면을 따로 돌출하거나

제거할수도 있습니다.

작업평면이나 서피스곡면생성후 리본메뉴

분할을 선택하고 뜨는 대화창에서 두번째

(C)부분을 선택하고 방향을 결정하면

화살표 방향의 솔리드가 제거됨을

알수 있습니다.

작업평면이나 서피스곡면생성후 리본메뉴

분할을 선택하고 뜨는 대화창에서 세번째

부분을 선택하면 두 솔리드가 작업평면

또는 서피스 곡면을 기준으로 분리됨을

알수 있습니다.

이렇게 분리되면 그부분만을 따로 편집

작업을 할수있습니다. 위 그림은 일부분

제거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처럼

인벤터에서 세가지 유형을 솔리드 분할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아래 동영상을 참고하시면 더쉽게 이해

되시리라 생각 됩니다.



-감사합니다.-

2023년 5월 10일 수요일

생활정보-2023년 5월 종합소득세‧개인지방소득세 신고‧납부 안내 입니다.

 



■ 2023년 5월 종합소득세‧개인지방소득세

신고‧납부 안내

◦ 대 상 :

22년 귀속 종합소득세를 확정신고 하는 개인

◦ 신고기간 : 2023. 5. 1.(월)~5. 31.(수)

◦ 납부기한 : 2023. 5. 31.(수)까지

◦ 신고방법

- 전자신고 :

홈택스‧손택스 신고 ⇒ 위택스 연계신고

- 방문신고 :

창원시청(본관 지하1층) 개인지방소득세

도움창구

※ 신고지원 대상자 :

모두채움 대상자 중 65세이상 고령자,

장애인

※ 모두채움 대상자 중 신고지원 대상자 외

방문민원인에게는 스스로 신고할 수 있는

시설 지원(매뉴얼, PC)

◦ 문의처 :

전담 콜센터 1661-6800,

창원시 각 구청 세무과 지방소득세팀

※ 의창구212-4241, 성산구272-4241,

마산합포구220-4251, 마산회원구230-4241,

진해구548-4241

출처: 창원시청홈페이지 시정소식

인벤터 TIP(팁)- 인벤터의 리브(Rib)즉 보강재 생성에 대해 알아봅니다.

 

구독신청~ 알림설정~ 좋아요. 감사합니다.

오늘은 인벤터에서 보강재를 생성하는

리브(Rib)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보통 기계부품 하우징에 리브가 많이

들어가죠. 리브 생성원리를 알아보기

전에 돌출로 리브를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먼저 알아 보겠습니다.

위 그림에서 표시된 부분이 리브입니다.

작업평면을 중간에 잡기위해 리본메뉴

(A)를 클릭후 나타나는 메뉴에서

두평면의 중간에 생성을 선택하고

(B)와 뒷면(C)를 클릭하면 위 그림과

같이 정확한 중간에 작업평면이 생성

됩니다. 2023년5월9일자에 보면

작업평면 생성하는 포스팅이

되어 있습니다.

2D스케치를 선택한 다음 생성한 작업평면

을 선태하면 2차원 개체를 생성할수 있는

공간으로 돌아 옵니다. 여기서 위 그림처럼

삼각형 형태를 작도합니다. 실제로는

원기둥이 둥근형태 이므로 왼쪽 수직선이

원기둥 안쪽으로 더 들어와야 돌출시

완전히 접합이 됩니다. 참고 바랍니다.

현재 여기서는 리브표현시 리브각도와

두께 이런 조건들은 임의로 지정했습니다.

스케치를 빠져나와 돌출을 위 그림과 같은

조건을 주어 확인을 해보니 리브형태가

생성된 것을 볼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돌출을 이용할 경우 완전히

닫힌형태로 작업을 해주어야만 하죠.

그래서 간단히 직접 리브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이전과 같은 방법으로 중간에 생성된

작업평면에 위 그림과 같이 리브로

생성될 대각선(A)을 작도합니다.

여기서는 임의로 작도한 형태입니다.

3차원 공간으로 돌아와 리본메뉴의 리브

를 클릭하면 뜨는 대화창에서 두께는

4mm로 지정하고 방향은 양쪽, 작업평면에

평행으로 생성... 기타 위 그림과 같이

조건을 주고 확인을 하니 리브가 생성됨을

알수 있습니다. 즉 대각선 하나로 리브가

생성되죠. 돌출보다 효율적이죠.

이렇게 보강재 역할을 하는 지지대를

생성하는 리브(Rib)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아래 동영상을 참고하시면 쉽게 이해도시리라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2023년 5월 9일 화요일

인벤터 TIP(팁)-인벤터의 작업평면 즉 워크플랜을 잡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구독신청~  알림설정~ 좋아요.  감사합니다.

오늘은 인벤터 작업중 2D스케치 작업을

위해 드로잉을 하기위한 밑바탕 즉

작업평면을 잡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보통 육면체는 각 방향의 6개의 면을

이용해 작업평면을 쉽게 잡을수 있지만

그렇제 못한 경우도 많기 때문에

이 작업평면 잡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알아두면 훨씬 모델링 작업이

쉬워 집니다.

인벤터를 실행하시고 리본메뉴의 작업평면을

클릭해보면 여러종류의 워크플랜 잡는 방법이

나옵니다.A~L 까지 다양한 방법이 있으니

하나 하나 살펴보겠습니다.

리본메뉴에서 (A)부분 클릭 후 육면체

상단 (B)부분을 클릭한다음 클릭을

유지한채 윗방향 또는 아랫방향으로

드래그 하면 뜨는 높이 값 입력창(C)에

원하는 높이값을 입력하면 됩니다.

그러면 해당면에서 일정 높이값을 같는

곳에 작업평면이 생성 됩니다.

그러면 일정높이의 허공에서 스케치

작업이 가능해 집니다.

(B)부분은 어떤 정점과 평면을 선택시

정점의 위치에서 평면과 평행인 작업

평면이 생성되는 원리입니다. 즉

(B)선택 후 (C)부분 정점선택하고(D)부분

면을 선택하면 (C)위치세 (D)면과 평행한

작업평면이 생성됩니다.

(C)부분은 두 평면(D),(E)을 선택시

정확히 두평면의 중간에 작업평면이

생성되는 원리입니다.

(D)부분은 토러스형태의 중간에 작업평면이

생성되는 원리입니다.

즉 (D)선택후 (E)를 틀릭하면 (E)토러스의

중간에 작업평면이 생성됩니다.

(E)부분은 모서리와 평면을 선택 후

일정각도를 가지는 작업평면을 생성하는

원리 입니다.

(E)선택 후 모서리(F)를 선택하고 면(G)를

선택하면 뜨는 창(H)에서 각도를 입력하면

지정된 각도값을 가지는 작업평면이 생성

됩니다.여기서는 30도를 입력했습니다.

(F)부분은 3개의 정점을 이용해

작업평면을 생성하는 원리 입니다.

위 그림에서 (G),(H),(I)세점을 선택하면

세 점을 지나는 작업평면이 생성됨을

알수 있습니다.

(G)부분은 두개의 모서리를 선택해서

두 모서리가 이루는 작업평면을 잡는

원리 입니다. (H),(I)의 두모서리를 선택

하면 작업평면이 생성됩니다.

(H)부분은 한개의 모서리와 접선을 이루는

작업평면을 생성하는 원리입니다.

위 그림에서 (I)선택하고 (J)원기둥 상단을

선택하면 모서리와 원기둥 상단에 접하는

작업평면이 생성됩니다.

(I)부분은 원기둥상의 정점과 원기둥을

선택하면 정점의 위치에 접하는

작업평면이 생성되는 원리 입니다.

위 그림처럼 (I)선택한다음 원주상의

정점(J)를 선택해서 접선방향의

작업평면이 생성됨을 알수 있습니다.

(J)부분은 (K)부분의 평면과 원기둥(L)을

선택하면 면(K)와 평행한 원기둥에 접하는

작업평면이 생성됩니다.

(K)부분은 정점과 모서리를 선택하면

정점의 위치에 그 모서리에 수직인

작업평면이 생성되는 원리 입니다.

(L)정점선택후 (M)모서리를 선택해서

작업평면이 생성됨을 알수 있습니다.

(L)부분은 정점과 커브(곡선)를 선택

하면 커브의 끝점에 수직인 작업평면이

생성 되는 원리 입니다.

(M)점을 선택하고 (N)커브를 선택하면

(M)위치에 커브에 수직인 작업평면이

생성됨을 알수 있습니다.

이렇듯이 다양한 작업평면을 잡은 법을

알아 보았는데 충분히 연습하시면 원하는

작업평면을 쉽게 잡으실수 있을 겁니다.

아래 동영상을 참고하시면 더욱더 쉽게

이해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어디로 가면 되나요?

포토샵 TIP(팁)-포토샵에서 일러스트처럼 경로따라 문자기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마산CAD디자인학원 이번시간에는 포토샵에서 일러스트처럼 경로즉 패스를 따라 문자를 기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 그림에서 보시면 일러스트에서는 문자도구의 다양한 입력방식에 의해 쉽게 경로를 따라 문자가 기입되게 할수 있습니다. 즉 문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