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2월 17일 토요일

엑셀 TIP(팁)- 엑셀의 함수ROUND,ROUNDUP,ROUNDDOWN,TRUNC,INT함수에 대해 알아봅니다.

 

엑셀에서 결과로 나온수치가

소숫점이하로 나올경우 원하는 자릿수

만큼 반올림,올림,내림,정수표시하는

함수 ROUND,ROUNDUP,ROUNDDOWN,

INT함수에 대해 알아봅니다.

반올림,올림 많이 헷갈리실 수도

있는데 정리를 한번 해 보겠습니다.

먼저 ROUND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함수식은 =ROUND(숫자,자릿수)인데

여기서 숫자를 지정한 자릿수로 반올림

한다는 의미 입니다.

위 그림에서 보듯이 D3셀을 클릭후

=ROUND(B3,2)를 입력하면 숫자

2567.56712를 소숫점2자리가지 반올림

하므로 소숫점 세째자리수가7이므로

반올림해서 2567.57결과가 나옵니다.

그 아래숫자 2567.56412는 소숫점세째

자리수가 4이므로 2567.56결과가 나옵니다.

따라서 소숫점2자리까지 표시를 하는데

세째자리수의 숫자가 5이상이면 반올림

합니다.

이번에는 ROUNDUP함수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ROUNDUP함수는

지정한 자릿수로 무조건 올리는 함수

입니다.함수식은 =ROUNDUP(숫자,자릿수)

입니다.

D22셀을 클릭후 =ROUNDUP(B22,2)

를 입력하면 소숫점2자리수를 무조건

올림하여 2567.56712가 2567.57로

표시됨을 알수 있습니다. 자릿수가 0일경우

2568, 자릿수가-2일경우 소숫점왼쪽으로

2자리에서 올리므로 2600으로 표기됩니다.

다음으로는 ROUNDDOWN함수에 대해

알아보겟습니다.

ROUNDDOWN함수는 지정한 자릿수로

무조건 내리는 함수 입니다.함수식은

=ROUNDDOWN(숫자,자릿수) 입니다.

D22셀을 클릭후 =ROUNDDOWN(B22,2)

를 입력하면 소숫점2자리수 미만을 무조건

내림하여 2567.56712가 2567.56로 표시됨을

알수 있습니다. 자릿수가 0일경우 2567,

자릿수가-2 일경우 소숫점왼쪽으로 2자리

에서 내리므로 2500으로 표기됩니다.

ROUNDDOWN함수와 비슷한

TRUNC 함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TRUNC함수는 지정된 자릿수미만을

버림하는 함수입니다. 함수식은

=TRUNC(숫자,자릿수) 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ROUNDDOWN함수와

차이점은 TRUNC함수는 자릿수를 생략

가능하나 ROUNDDOWN함수는 반드시

자릿수를 입력해야 한다는 것 입니다.

위 그림을 보면 ROUNDDOWN함수와 결과값이

같습니다. 차이점이 없죠

그럼 위에 말씀드린것처럼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모두 결과값은 같지만

함수식에서 자릿수가 0일 경우

ROUNDDOWN함수는 반드시 자릿수에

0을 입력해야 되지만 TRUNC함수는 자릿수

부분에 0을 입력해도 되고 자릿수가0 일경우

생략가능합니다.이부분이 차이점 입니다.

마지막으로 INT함수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INT함수는 숫자를 가장가까운

정수로내리는 함수 입니다.

C38셀을 클릭하고 =INT(B38)을 입력하면

B38의 값이 5.7이므로 가장가까운 정수로

내리면 값이 5가 표시됨을 알수 있습니다.

-3.3 일경우는 -4 입니다.

이렇게 오늘은 반올림,올림,내림,정수표시

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12월 16일 금요일

엑셀 TIP(팁)- 엑셀에서 데이터 추출함수 즉 LEFT,MID,RIGHT함수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엑셀작업시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데이터추출하는 함수는 LEFT,MID,RIGHT

함수가 있습니다. 특정부분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함수의 기본식 사용법은 위와 같습니다.

예를 들어 한번 실습해 보겠습니다.

위와 같은 데이터가 있는경우 출생년도,

출생월, 주민번호뒷자리,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주민번호됫자리*표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출생년도는 D4셀(A)을 클릭후

=LEFT(C4,2)를 입력하면 됩니다.

LEFT함수는 추출대상텍스트에서

왼쪽부분에서 몇자리추출 하는 함수

입니다. 따라서 대상텍스트는 (C4)가

되고 출생년도 두자리를 추출한다는

의미 입니다.

값이 구해지면 자동채우기핸들(A)부분을

아랫방향으로 드래그해서 나머지 부분을

구하실수 있습니다.

출생월을 구할때는 데이터가 가운데

있으므로 MID함수를 이용합니다.

E4셀을 클릭후 =MID(C4,3,2)를 입력

합니다. 이는 추출대상텍스트에서 3번째

부터 2자리를 추출한다는 의미 입니다.

마찬가지로 값이 구해지면 드래그해서

나머지 부분을 추출하시면 됩니다.

주민번호 뒷자리는 F4셀을 클릭후

추출할데이터에서 오른쪽에 있으므로

RIGHT함수를 이용합니다. 따라서

=RIGHT(C4,7)을 입력 합니다.

추출데이터C4에서 오른쪽7자리를 추출

한다는 의미입니다.

같은방법으로 드래그해서 위 그림처럼

나머지 데이터를 추출하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주민번호 뒷자리 * 표시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G4셀을 클릭후 =LEFT(C4,8)&"*******" 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즉 주민번호 왼쪽에서

8자리를 표시하고 문자연결자 & 기호를

사용해서 뒷자리는 *로 대체한다는 의미

입니다. &기호 사용한 것은 이전에

12월10일자에 포스팅한 적이 있습니다.

위와 같이 C열에 있는 주민번호 데이터

에서 원하는 데이터만 추출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12월 15일 목요일

인벤터 TIP(팁)- 인벤터2D작업시 중요한 구속조건에 대해 알아봅니다.

 



인벤터2D작업시 물체의 위치와 크기를

구속하는 구속조건에 대해 알아봅니다.

인벤터 뿐만 아니라 기타 설계 프로그램

에서도 존재합니다. 말그대로 구속조건

이란 그려진 개체에 대해 크기나 위치를

지정된 조건으로 만든다는 예기입니다.

하나씩 예를들어 살펴보겠습니다.

위의 그림은 수평,수직,평행구속조건인데

먼저 수평구속조건은 리본메뉴에서 선택(A)

후 삼각형 하단 (B)를 클릭하면 우측(C)처럼

수평으로 만들어줍니다.

수직구속조건은 메뉴선택(D)후 선(E)를

클릭하면 우측(F)처럼 수직으로 구속됩니다.

평행구속조건은 메뉴에서(G)선택후 두선분

즉(H)와 (I)를 클릭하면 우측그림(J)처럼

평행을 만들어 줍니다.

위 그림은 두선분의 수직구속조건과 점일치

구속조건 예시 입니다.

먼저 메뉴에서 (A)선택후 선분(B)클릭후

(C)를 클릭하면 우측그림 (D)처럼 두선분이

수직을 이루고 점일치구속조건은 메뉴(E)

선택후 원의중심점(F)클릭후 선분의 끝점(G)

를 클릭하면 우측그림처럼(H) 점일치구속

이 됩니다 원의 크기가 주어져있으므로

원크기는 변하지 않고 마치 이동(MOVE)

같은 현상이 나타나죠.

위의 그림은 일직선상 구속조건과 동심원

구속조건에 대한 예시 입니다.

먼저 일직선상구속조건은 (A)클릭후

(B)와 (C)를 클릭하면 아래 그림처럼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됩니다.

동심원구속조건은 메뉴에서(D)선택후

원(E)와(F)를 선택하면 그림(G)처럼 중심의

위치가 동일하게 됩니다. 그런데

지정된원 위치로 일치하고싶을땐

원(I)를 고정(H) 시키면 되는데 이때

고정구속조건은 크기와 위치를 동시

구속하므로 원에 주어진 치수구속조건을

삭제해야 합니다.

고정구속조건이 적용되면 동심원구속조건

실행시 다른원이 고정된원으로 이동됩니다.

위의 그림은 접선과 부드럽게하는 구속조건

입니다. 먼저 접선은 메뉴(A)에서 선택후

선(B)클릭후 원(C)클릭하면 우측그림처럼

접하게 됩니다. 부드럽게하는 구속조건은

메뉴(D)선택후 곡선(E)클릭후 선(F)클릭하고

다시 선(G)클릭후 곡선(H)를 클릭하면

부드럽게 이어지는 선이 형성됩니다.

위 그림은 대칭구속조건과 크기를 같게

하는 구속조건입니다.

먼저 크기를 일치시키는 구속조건을

메뉴(A)클릭후 선(B)클릭후 다른선(C)를

클릭하면 선(A)에 크기가 주어진대로

크기가 동일하게 됩니다.

대칭구속조건은 메뉴(D)클릭후 선을

순서대로 (E)(F)(G)로 클릭하면

선분(G)를 기준으로 (E)와(F)가

대칭을 이루게 됩니다. 대칭구속조건시

기준선을 제일 마지막에 선택해 줍니다.

말로 설명하니 글이 많아지네요

아래 동영상을 보시면 이해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12월 14일 수요일

인벤터 TIP(팁)- 인벤터 2D 패턴작업중 수정이 안되는 경우 해결방법입니다.

 


오늘은 인벤터 2D에서 패턴 즉 배열

작업중 배열된 개체중 일부를 삭제하려고

해도 지워지지가 않고 편집이 되지 않는

경우 해결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벤터에도 캐드와 마찬가지고 패턴

에는 행열패턴과 원형패턴 두가지가

있습니다.

위의 그림은 행열패턴인데 리본메뉴의

직사각형패턴(A)을 클릭하면 창이 뜨는데

여기서 형상(C)를 클힉후 사각형물체(D)를

선택한다음 방향(E)를 클릭후 Y방향의선(F)

선택하고 다시 방향(G)를 클릭하고 X방향선

(H)를 선택해주고 그아래 생성될 갯수와

간격을 지정해 줍니다. 만약에 이상태로

확인(0K)버튼을 누르면 행열패턴이 생성

되지만 문제는 편집이 되질 않습니다.

이유를 확인해보면 위 그림처럼 개체(A)선택후

마우스오른쪽클릭해보면 나타나는 팝업메뉴

에서 모든 구속조건표시함(B)을 선택하든지

아니면 생성된 모든물체 선택후 리본메뉴의

(C)부분을 클릭해보면 (D)부분에서 보시면

모든 물체에 구속조건이 있는것을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그래서 패턴생성시 확인 버튼 누르기 전에

반드시 우측하단(C)를 클릭후 나타나는

부분에서 억제(A)를 이용해서 생략될 물체

를 선택하던지 아니면 연관(B)부분의

체크를 해제하고 확인(OK)버튼을 누르셔야

됩니다. 되도록이면 연관부분 체크를 해제

하고 하시는게 좋을 듯합니다.

그러면 앞에 방법으로 구속조건 보기를

해보면 (B)부분만 구속이 걸린것을 볼수

있습니다. 그러면 (C)부분처럼 일부분을

삭제하던지 편집이 가능해집니다.

위 그림은 원형패턴 입니다.

리본메뉴의 원형패턴(A)을 클릭후 나타나는

창에서 형상(B)를 클릭후 개체(C)를

선택하고 축(D)를 클릭후 원(E)나 또는

중심축(F)을 선택해주고 나타낼 갯수와

각도를 지정해 주시면됩니다.

위의 그림은 갯수12개와 한바퀴 360를

지정해서 즉 360도에 12개가 생성된

것을 볼수 있습니다.

360도 일때는 방향에 의미가 없으나

360도보다 작은각도들 즉 위그림처럼

180도로 지정하면 (A)부분을 클릭해서

(B)부분처럼 생성될 물체의 방향을

바꿀수 있습니다.


직사각형 즉 행열 배열과 마찬가지로

개별 편집을 위해서는 (A)부분을 클릭해

나타나는 부분에서 반드시 연관(B)을

체크를 해제 하시면 됩니다.


유투브 설명영상  클릭해보세요

-감사합니다.-

인벤터 시작부터 2D과정 통합본 영상 유투브에 업로드 했습니다.

 

구독신청~ 알림설정~좋아요~ 감사합니다.




인벤터를 처음 접하시는 분을을 위해

인벤터 시작부터 2D과정 전반에 걸친

설명영상입니다.

많은 관심바랍니다.

구독신청~ 알림설정~좋아요~

감사합니다.

어디로 가면 되나요?

충북 영동 감자탕 맛집~ 영동 통뼈감자탕을 다녀왔어요

  충북 영동군 영동읍 계산리 665-4 추석 전날이네요. 명절음식준비로 바쁜하루를 보내고 어느덧 저녁이 되었네요. 오늘 저녁은 외식으로~ 검색시작해서 찾은 영동통뼈감자탕 입니다. 영업하는지 확인도 안하고 그냥 무작정 나왔네요.네비찍고 도착해보니 다행...